본문 바로가기

NYC Life

Untitled -대화인 작품: 너와 내가 연결되는 순간의 기록들-

 

 

Untitled -대화인 작품: 너와 내가 연결되는 순간의 기록들-

한 사람이 자신이 속한 기존 사회에서 또 다른 사회로 귀속된다고 할 때, 그는 새로운 환경과 사회에 적응하기 위해 노력을 한다. 사회의 적응을 위한 가장 큰 첫 번째 노력은 언어일 것이다. 외

2018.iseaweed.org

Untitled  -대화인 작품: 너와 내가 연결되는 순간의 기록들-

 

 한 사람이 자신이 속한 기존 사회에서 또 다른 사회로 귀속된다고 할 때, 그는 새로운 환경과 사회에 적응하기 위해 노력을 한다. 사회의 적응을 위한 가장 큰 첫 번째 노력은 언어일 것이다. 외국을 여행하거나 혹은 유학의 경험이 있는 사람들이라면 떠나기 전에 그 나라의 언어를 가장 먼저 습득하고 간다. 그리고 한 번쯤 현지인이 되기 위한 노력을 한다. 혀를 아주 미끄럽게 굴리거나, 혀를 유연하게 다룰 줄 아는 전문가가 되어 보기도 한다. 아마도 언어는 매우 유연함과 동시에 예민한 존재일 것이다.   또한, 새로운 환경 속에서 적응해가는 것은 언어뿐만 아니라 문화, 생활, 태도 그리고 말투 또한 모방해 간다. 뉴욕에 살기 시작하면서부터 나는 말을 할 때 상대방의 눈치를 먼저 살피고, 내 생각을 제대로 읽었는지, 나의 배경을 궁금해하는지 생각하곤 한다. 내가 진정 그들과 대화하고 소통할 수 있는가?

 

다민족의 용광로(melting pot), 언어의 박물관이라고 불리는 뉴욕에서 다민족들이 사용하는 언어만 해도 약 170여 개, 크게 분류하면  30개 언어가 사용되고 있다. 뉴욕의 길거리에서는 쉽게 여러 가지 언어들을 들을 수 있다. 영어, 한국어, 중국어, 포르투갈어, 러시아어, 아랍어, 이탈리아어 등 수 십 가지 언어들이 뉴욕 거리를 활보하고 있다. 마치 각 나라의 언어가 하나의 예술 작품이라고 생각한다면, 하루에 수십 개의 작품을 보고 듣고 있는 셈이다. 예술의 실천이야말로 다양한 나라 그리고 그 지역 사회 사람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대화라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대화는 상호 유대성을 외적으로 잘 표현할 수 있는 수단이기 때문이다. 낯선 환경에 적응하기 시작하면서 나는 본질적인 대화와 소통에 대해 자주 생각하고 집중하게 되었다.

 

2011년 아트선재센터(Art Sonje Center)에서 인턴을 하던 당시 전시 했었던 작가가 불현듯 스쳐 떠올랐다. 바로 김홍석작가이다. 김홍석은 협업 작업 속에서 텍스트를 사용하여 예술적, 사회적, 지적 노동을 본인의 작업 속에 교차시키는 시도를 한다. 또한, 그는 작가, 관객, 참여자의 관계를 재정의하고 그들의 대화를 자연스럽게 작품에 개입시키는 작가이다. 그의 작품은 어떠한 미술적 오브제(object)도 미술관 안, 전시장 어디에서도 존재하지 않는, 사람들이 주인공이고, 대화가 또 다른 작품이다. 당시 관객 참여형 프로젝트였던 <평범한 이방인> 전시는 5개의 의자만 존재할 뿐, 전시장 안은 고요한 침묵이 맴돌았고, 퍼포머(performer)와 관람객이 들어서는 순간 새로운 작품이 재생산되었다. 전시의 내용은 작가에 의해 쓰인 텍스트가 퍼포머의 말(language)을 통해 관람객들에게 고스란히 전달되는 작품이다. ‘의자, , , 사람, 개념이라는 다섯 가지의 글이 퍼포머들에게 하나씩 무작위로 전달되고, 작가는 퍼포머들과 그 글에 관해 대화를 나눈다. 대화를 통해 전달되고 이해 되어진 다섯 가지 글은 퍼포머들의 가변적인 이해에 따라 각자 다르게 해석되어진 채로 관람객들에게 전해진다. 김홍석은 퍼포머들이 어떻게 정확하게 텍스트를 이해하고 암기했는지를 중요시하는 것이 아니라, 작가와 퍼포머들 사이에서 오간 대화를 주목한다. 작가가 제시하고자 한 작품은 결국 대화를 통해 완성되고, 대화 그 이후에 대해 전해지는 이야기는 작가가 개입할 수 없게 된다. 다른 사람을 통해 전해지는 대화의 내용(narrative)이 결국 또 다른 예술 작품이 된다.

 

3자를 통해 전해 듣는 작가의 이야기에 대해 관람객들은 어떻게 받아드릴까? 결말이 있는 작품일까? 미술관 공간을 사회적 소통의 공간으로 전환했던 김홍석 작가를 생각하면, 실제로 우리가 카페나 거리 등의 공공적인 장소에서 나누는 대화들 또한 작품이 될 수는 없을까? 미술관에서 접하는 시각적 오브제가 작가와 관람객들 간의 간접적인 소통이라고 생각한다면, 대화를 통해 서로 긴밀하고 친밀하게 이루어지는 직접적인 소통은 만남이라는 미술실천을 재현하게 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내가 사는 아스토리아(Astoria, Queens) 동네만 하더라도 여러 인종의 사람들이 한 데 모여 생활한다. 영어가 아닌 다양한 언어들 그리고 처음 들어보는 언어까지도 들을 수 있는 즐거움이 있다. 며칠 전 새로 찾아낸 조용한 동네 커피숍에 들러 책을 읽고 있었다. 그중 서너 명의 친구들의 대화 소리가 들렸고 특별하지도 않았지만 익숙한 이야기가 오갔다. 등을 지고 있던 터라 대화 소리만 들릴 뿐, 그들의 생김새나 연령대는 추측할 수 없었다. 하지만, 어느 나라에서 무엇 때문에 이곳에 왔는지는 짐작할 수 있었다. 분명 같은 영어를 사용하는데 같은 단어를 내뱉고 있는데 서로 다른 생각들과 의견들이 제법 진지하고도 묵직하게 들렸다. 대화를 엿듣다 보니 더 자세히 그들의 생각을 들어보고 싶어 대화에 조심스럽게 참여했다. 그들의 대화 주제는 일반 여느 젊은이들과 다름없이 이성과 다툰 이야기, 더운 여름 집에서 나타나는 징그러운 바퀴벌레 이야기, 어디 라멘집이 맛있는지 등하지만 최근 들어 뉴욕에서 일어나고 있는 몇 가지 중요한 단편적인 이야기들을 나누었다. 여러 매체에서 나오는 합법적 시민권 취득자에 대한 심사 강화에 관한 이야기, 불법 입국자 부모-자녀 격리에 대한 의견, 본인들이 겪은 인종차별에 대한 에피소드를 자유롭게 이야기하고 있었다. 요즘 젊은이들이 당면하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를 스스럼없이 토론하고 이야기 나누는 것은 꽤 진지했다. 우리의 대화는 보다 넓은 사회, 정치, 한미 관계, 북한 핵 도발 등에 대한 서로 다른 관점, 해석으로 까지 나아가게 되었다. 처음 보는 젊은 친구들과 하나의 주제로 서로의 식견을 교환하고, 또한 대화가 축적되는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담론이 예술 실천이라는 개념을 만들어 냈다고 생각하니 이내 뿌듯하기만 했다. 순수한 예술 작품이란 바로 분석적 나는 다음을 기약하며 한 시간 정도의 이야기 끝에 서로의 연락처를 주고받고 돌아오게 되었다.

 

프랑스 비평가 니콜라 부리오(Nicolas Bourriaud)의《관계의 미학(Relational Aeshetics)은 소통과 교환을 바탕으로 하는 작업의 성격에 대해 관계 예술이란 개념을 새롭게 정의했다. 오늘날에는 의사소통과 대화의 교환 그 자체가 예술이 되었고, 사회적 맥락과 인간 사이에서의 상호 관계성을 강조하게 되었다. 이 같은 특성은 예술 작품에 있어 관람객의 역할을 필수 불가결한 것으로 만들었다. 작품은 작가에 의해 완성되어 제시되는 것이 아닌 관람객의 참여를 통해 결정되는 것이다. 뉴뮤지엄(New Museum)에서는 <The Black School x Kameelah Janan Rasheed(2018)>라는 주제로 흑인 사회 운동의 다양한 역사를 기반으로 한 예술 제작 워크숍의 결과물을 전시하고 있다. 참여 작가인 카멜라 자난 라셰드는 예술가이자 작가, 교육자로 텍스트를 기반으로 한 설치 작품, 사진, 출판물, , 사운드 프로젝트를 사용하여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사이를 어떻게 연결하는지를 탐구한다. 뉴 뮤지엄의 청소년 워크숍 프로그램과 함께 공동작업 한 블랙 스쿨(black school)2016년에 설립된 실험적인 예술학교로서, 상호 교환 워크숍을 통해 흑인 역사를 제대로 공부하고, 사회 및 정치적인 변화를 위한 사회적 참여 예술집단이다. 이번 전시는 교육 및 예술 활동 관행에 관한 탐구와 미국 흑인 사회 운동의 다양한 역사를 떠올리는 데 많은 심혈을 기울인 듯하다. 10대 학생들은 워크숍을 통해 노예제도와 짐 크로우 법(Jim Crow Law)이라 불리는 인종 차별법과 관습에 대해 토론하고 이에 관련한 자료를 수집한다. 미술관 한쪽 벽에는 미국의 흑인 사회 운동, 다양한 역사에 관한 예술가들의 책들과 소책자 그리고 학생들이 쓴 시집과 에세이 등이 전시되어 있다. 여기서 작가는 대중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록스(Xerox)가 갖춰진 도서관에 텍스트와 비디오가 설치된 시설을 전시장 안에 제공하였다. 또한, 뉴욕지역 전역의 청소년과 성인들을 위한 공개 워크숍 및 대화를 통해 새롭게 개발되는 교육 과정을 전시 기간 동안 선보인다. 때마침 작품을 유심히 보고 있던 나에게 한 고등학생이 다가와 나에게 말을 건넸다. 바로 이번 워크숍에 참여한 한 고등학생이었다. 그들은 나에게 타로카드처럼 생긴 여러 묶음의 카드 중 3장의 카드를 골라보라고 했다. 내가 뽑은 3장의 카드에는 “What is the context of the issue?”(문제의 맥락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What do you want to change about your community?”(당신은 당신의 공동체에서 무엇이 바뀌기를 원하는가?) 그리고 마지막으로 “What do you want to learn about?”(무엇을 배우고 싶은가?)가 적혀있었다. 이 카드에는 총 100여 가지 이상의 주제로 학생들이 사회에 그리고 그들이 지금 배우는 교육시스템에 바라는 것을 정리해 두었다고 한다. 학생들은 이 카드를 통해 관람객들에게 흑인 비판적 교육시스템에 대한 의문을 던지고 직접 대화를 할 수 있도록 유도했다. 관람객들의 적극적인 의견 제시와 질문을 바탕으로 더 긴밀하고 직접적인 작품을 몸소 경험할 수 있었다. 이들의 <The Black School x Kameelah Janan Rasheed> 프로젝트는 협동적인 대화의 형식에 관심을 기울이는 현대미술의 완전한 실천을 보여주었다.  

 

작품을 통해 관람자들에게 만남의 장을 제공하여 대화하고 소통하게 함으로써 상호관계를 맺고, 작품을 매개로 직접 만나 서로 교류하면서 공감과 유대감을 느끼게 해주었다. 우리는 흔히 사람과 사람이 만나 어떠한 주제를 매개로 하여 대화하고 교류하게 함으로써 언어, 정치, 사회와 현실에 대한 삶의 방식을 교환한다. 이곳 뉴욕에 와서 직접 경험했던 일시적, 작은 만남이 새로운 세계를 경험하는 발판이 되었고, 대화와 소통의 장이 예술의 실천을 성립할 수 있었음을 확인시켜 주었다.

 

-정재연